Polyphony in Korean Multicultural Literature : A Case Study of Jeong-In’s “Time with Others”
Main Article Content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olyphony found in contemporary Korean multicultural literature,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short story Time with Others by South Korean female writer Jeong In. This story is part of a collection titled The Place Where That Woman Lives, published in 2009. The narrative explores the life of a Vietnamese woman who marries and migrates to South Korea, facing communication barriers within her new family. Using Mikhail Bakhtin’s theory of polyphon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ory portrays overlapping and diverse voices through its characters. The protagonist demonstrates conflicting perspectives, both asserting her own beliefs and listening to the experiences of others. This reflects the cultural diversity and persistent issues of acceptance in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Article Details
References
강연실. (2020). 2000년대 한국 이주노동자 소설에 나타난 ‘코리안 드림’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김범수. (2010). 다문화사회 십계명. 서울: 리북.
김미경. (2021). 「나무꾼과 선녀」와 「타인과의 시간」의 여성 이주담론 연구.
춘원연구학보, (21), 207-233.
김민라. (2017). 한국 다문화소설의 서사담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김영란. (2003). 서정인의『달궁』에 나타난 다성성(多聲性)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 대학교.
김영옥 외. (2009). ‘사랑’의 이주?: 국제결혼 베트남 여성의 결혼 이주 과정. 국경을
넘는 아시아 여성들: 다문화 사회를 만들다.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김혜진. (2012).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 여성의 현실 대응방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박상만. (2007). 미하엘 바흐찐과 영미문학 비평. 영어영문학 연구, 33(3), 35-54.
박진. (2010). 박범신 장편소설『나마스테』에 나타난 이주 노동자의 재현 이미지와
국민국가의 문제. 현대문학이론연구, (40), 223-239.
문재원. (2010). 이주의 서사와 로컬리티『나마스테』와『잘가라 서커스』에
재현된 이주 공간. 한국문학논총, 54, 301-331.
미셸 푸코. (2004). 푸코의 맑스 (이승청, 역). 서울: 갈무리.
미하일 바흐친. (1988).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전승희 외, 역). 파주: 창작과 비평사.
안광진. (2010). 다문화 모티프 소설의 인물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엄숙희. (2024). 한국 다문화소설에 재현된 국제결혼 남성의 존재 양상.
우리문학연구, (82), 381-409.
오윤호. (2009). 디아스포라의 플롯 2000년대 소설에 형상화된 다문화 사회의
외국인 거주자. 시학과언어학, 17, 231-249.
이강은. (2011). 미하일 바흐친과 폴리포니야. 서울: 역락.
이경옥. (2005).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 다성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이남정. (2023). 한국 다문화 소설 연구 -2010년대 작품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이미림. (2014).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서울: 푸른사상사.
이은경. (2016). 다문화 소설의 갈등 양상과 인물 대응 방식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유리. (2014). 타자성에 기반한 다문화 소설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정미진. (2005). 조세희의『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연구 : 다성성(多聲性)
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정민영. (2000). 이청준 소설의 다성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정인. (2009). 타인과의 시간. 그 여자가 사는 곳. 파주: 문학수첩.
조미숙. (2009). 다문화 시대의문학적대응-이주노동자/이주 여성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30), 35-63.
조현상. (2012). ‘다문화 담론’의 한계성과 유효성에 관한 고찰 -한국 다문화사회
수렴(收斂)과정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63(0), 219-246.
최강미. (2006). 단일민족의 신화와 혼혈인. 어문논짐(語文論集), 35(0), 287-314.
최남건. (2014). 2000년대 한국 다문화소설 연구 -이주민 재현 양상과 문학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천연희. (2007). 현대 소설을 통해 본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최협 외 엮음. (2005).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파주: 한울 아카데미.
홍원경. (2009).『나마스테』에 나타난 외국인 노동자의 재현 양상. 다문화
콘텐츠연구, 7(0), 153-177.